오늘은 조현병간호진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조현병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조현병 Schizophrenia라는 용어는 1908년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 블로일러 Eugen Bleuler에
의하여 처음 소개된 것으로, 그리스어인 skhizo(분열)과
phren(마음)이 합해져 만들어졌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다가
이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위해
대한조현병학회와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병명 개정
작업을 노력해왔습니다. 그 결과 2012년 1월부터
조현병이라는 개정된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조현병이란 사고, 감정,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걸쳐 광범위한 임상적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정신 질환입니다. 조현병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며, 단일 질병이 아닌, 공통적
특징을 지닌 몇 가지 질병으로 이루어진 질병군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뇌는 인간의 모든 정신적,
신체적 기능들을 조절, 관리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뇌에 이상이 생기면 아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현병은 뇌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뇌 질환, 뇌장애로 보는 것이 옳고,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조현병은 단일 질환으로 설명되지만 실제로는
유사한 증상들을 보이나 다양한 원인을 가진
질환군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집니다.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임상 양상, 치료
반응, 그리고 병의 경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조현병에만 나타나는 특이 증상은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정신상태 검사만으로 조현병으로 확진하면
안되며 다양한 내과적 질환과 타 정신과 질환에
대한 감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합니다.
조현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망상과 환각입니다.
망상이란 사고에 장애가 생긴 것으로, 그 사람의
교육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더라도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이라고 확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망상의 내용은 피해망상, 과대망상부터
신체적 망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고 합니다.
환각이란 감각기관에 대한 외부자극이 없는데도
마치 있는 것처럼 지각하는 것으로, 질적으로 실제
지각과 비슷합니다. 조현병에서는 환청이 가장
흔히 나타나는데 사람 목소리가 가장 많고
그 밖의 소리나 음악으로도 경험한다고 합니다.
이상한 말과 행동을 하는 등 와해된 언어와
행동을 보이고, 움직임과 의사 소통이 심하게
둔화되는 긴장증적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현병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정서표현 감소,
의욕 감소, 대인관계 감소 등 음성증상이 특히
뚜렷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음성증상이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정신기능이
결핍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조현병간호진단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조현병의 진단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찰과 병력 청취, 질의 응답 과정을 통해 내려집니다.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가
2013년에 개정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DSM-5)에 따른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징적 증상
다음의 증상 중 2가지 이상 존재하며, 이들 중 최소한
1개의 증상은 망상, 환각 혹은 와해된 언어에
해당되어야 한다. 상기 증상은 1개월 중 상당 기간
동안 존재해야 한다. (단, 성공적으로 치료된
경우는 기간이 짧을 수 있다).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예: 빈번한 탈선 또는 지리멸렬)
(4) 심하게 와해된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
(5) 음성증상, 즉 정서적 둔마, 무논리증 또는 무의욕증
조현병간호진단 두 번째 기준은
증상으로 인한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의 기능 저하입니다.
발병 이후 상당 기간 동안 직업이나 대인관계
또는 자기관리와 같은 주요 영역의 한 가지 이상에서
기능 수준이 발병 이전과 비교하여 현저히 저하된다.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경우에는 대인관계,
학업, 또는 직업 분야에서 적절한 성취를 이루지 못함)
3. 기간
장애의 징후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6개월의 기간은 진단기준 1번을 충족시키는
증상(활성기 증상)이 존재하는 최소 1개월의 기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성공적으로 치료되면 더 짧을
수 있습니다), 전구기와 잔류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전구기나 잔류기에는 단지 음성증상만 나타나거나 진단
기준 1번에 열거된 증상 가운데 2개 이상의 증상이
약화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 괴상한 믿음, 흔치 않은 지각적 경험)
조현병간호진단 네 번째 기준은
조현정동장애와 기분장애의 배제입니다.
조현정동장애와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기분장애는 주요 우울증 혹은
조증 삽화가 활성기 증상과 동시에 나타나지
않거나 활성기 증상이 있는 기간 동안 기분삽화가
발생한다고 해도 병의 활성기와 잔류기 전체
지속 기간의 일부에만 존재한다와
같은 이유로 배제됩니다.
5. 물질의 생리적 효과 및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배제
장애가 남용 약물이나 치료 약물과 같은
물질의 생리적 효과이거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합니다.
6. 자폐스펙트럼 장애 등 발달 장애와의 관계
만약 자폐스펙트럼 장애나 아동기 발병
의사소통장애의 병력이 있는 경우, 뚜렷한 망상이나
환각이 적어도 한 달 이상 지속될 경우에만
추가로 조현병을 진단할 수 있고, 성공적으로
치료되면 더 짧을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조현병간호진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니잇몸부음 충치도 없는데 아프다면 (0) | 2021.07.06 |
---|---|
목젖늘어짐 감기에 걸렸을 때 생기는 (0) | 2021.07.06 |
통풍약 계속 먹어야 하나요 (0) | 2021.07.02 |
쥐젖실비 적용이 가능할까 (0) | 2021.07.02 |
림프절부음 피곤할 때 생겼다면 (0) | 2021.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