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에이즈붉은반점 생기면 무조건 에이즈인가요

by 두통약좀주소dg 2021. 7. 9.
반응형

여러분은 에이즈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에이즈는 HIV라고도 불리며 정식명칭은

‘후천성면역결핍증’입니다. 유전성이 아닌 인체

내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를 파괴하여

면역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붉은 반점이

생겼다고 해서 100% 에이즈

증상은 아니라고 합니다.

에이즈 초기 증상은 발열, 오한, 인후통과

같은 몸살감기로 보일 수 있고 에이즈붉은반점이

몸 군데군데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들은

정상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고 알레르기에 의한

붉은 반점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정밀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HIV 감염인이란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을

말하며 HIV 감염된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하지 않으며 그 중 질병이 진행되어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되었거나 감염증,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나는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합니다.

 

HIV 감염인과 음식을 함께 먹어도 HIV에 감염되지

않습니다. HIV 감염인과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떠먹는 경우 감염인의 숟가락에 감염인의 침과

함께 바이러스가 묻어 나와 HIV 감염이 될까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음식에 들어간 HIV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다고 합니다.

 

HIV 감염인과 손을 잡거나 같이 운동을 해도

HIV에 감염이 안 된다고 합니다. HIV는

성관계나 상처, 점막 등을 통해 상대방의

몸속으로 들어가야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상적인 신체접촉으로 교환될 수 있는 체액인

땀에는 극히 소량의 바이러스가 들어있어

상대방의 몸 안으로 들어간다 해도 면역체계가

모두 제거할 수 있기 대문에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후천성면역 결핍증은 그동안 많은 오해와

두려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감염자들의 초기 증상 사례 중의 하나가 바로

피부에 붉은 반점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에이즈붉은반점은 바이러스 감염자의

일부만이 겪게 되는 증상 중에 한 부분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잠복기에 있던 균이 발현되면서

면역체계까지 무너지면서 발생하는 단순질환이기

때문에 피부병이 곧 에이즈 환자의

전조증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보통 에이즈붉은반점은 HIV보균자를

판별하는 기준점처럼 여겨집니다.

하지만 이런 형상은 카포시 육종이라는 질환

중에 하나로 발생원인은 인체 면역력이

저하입니다. 즉, 상기 현상은 초반징후가 아니라

잠복기 이후에 나오는 발병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

 

에이즈붉은반점은 자주색 빛깔을 띠며 연한

원형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카포시 육종은 통증과

가려움증이 동반되지 않는다고 하며, 부위는

얼굴과 상체 그리고 전신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번지는 기간은 수년에 걸쳐서

천천히 진행된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에이즈 감염 누적자는 약

10,000명으로 추정되며, 매년 약 800명에서

1,000명정도의 신규환자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반면, 카포시 육종은 상당한 희귀한

질병이 속합니다. 병변의 부위는 전신뿐만

아니라 폐, 간과 같은 내장까지 확장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단순한 자주색 반점들은

발생확률이 극히 낮기 때문에 헤르페스

감염자가 아닌 일반 습진성 피부염일

가능성이 수 백배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HIV 진짜 감염자의 초기증상은 최소 3주,

최대 6주 정도에 걸쳐 독감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주된 증상은 고열이 나고,

몸이 결리거나 아프고, 설사나 구역질이

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다음은 별다른 치료나

처방 없이도 2주 내에 자연적으로 치유가 됩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보균자 중의 오직 40%

내외만 이러한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일반인들의 오해가 많은 이유도 바로

여기 있습니다.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기 때문에

조금만 이상해도 의심하게 되는 것입니다.

 

현재 HIV 감염인들이 복용하는 치료제는

완치제는 아니지만 HIV의 증식을 억제하여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약입니다.

현재는 탁월한 치료제가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꾸준한 약제의 복용을 통해 감염인은

얼마든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에이즈붉은반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에이즈에 걸렸다고 모두가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니, 붉은 반점으로

에이즈 여부를 판단해서는 안되겠습니다.

그럼 여러분이 모두 건강하시길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