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정맥코로나백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방역 당국은 고령 만성질환 환자의 경우
당일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접종 자체에 특정 질환이
금기시되지는 않지만, 만성질환자는 당일
건강 상태를 고려해 접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고령층에서의 코로나19 사망 위험이 높은 만큼
백신 접종으로 얻는 이득이 압도적으로
크다는 점을 강조하며 백신 접종을
적극적으로 권고했다고 합니다.
그럼 심장 수술을 받은 적이 있거나
여전히 부정맥 등 심장병이 있는데
백신을 맞아도 되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심장 수술의 과거력, 부정맥, 심부전증 등
특정한 만성질환이 백신접종의 금기에 해당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부정맥코로나백신을 접종하는
당일의 상태에 따라서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합니다.
고령자의 경우 코로나19 감염 시
사망할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백신접종의 득이
명확히 크므로 접종이 권고됩니다. 다만 심장병이
있다면 복용하는 약물 중에서 출혈 경향성을 만드는
약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백신을 맞은 부위를 잘
눌러주어 혈종 등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발열과 같은 증상이 생긴다면 적극적으로
약물로 증상을 조절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지금 개발된 코로나 19백신들은 금기가 되는
기저질환이 없다고 합니다. 지금 급성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환을 갖고 있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분들을 제외하고는, 기저질환이 있는
분일수록 코로나백신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또 평소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는 분들은
백신 접종 후 혈압이 급상승하지는
않을지 걱정되실 겁니다.
고령층에서는 상대적으로 발열 등의 이상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작다고 합니다.
발열 증상이 나타나면 사람에 따라 맥박이나
혈압이 올라갈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평소 혈압약을
복용하며 혈압이 어느 정도 조절되고 있다면
혈압 상승으로 문제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이렇게 부정맥코로나백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제 추가적으로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주의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도 일반적인 백신 접종 후의
사항과 같습니다. 국소적인 이상 반응은 꽤 보고
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어르신들은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주의사항을 꼭 숙지하셔야 합니다.
첫째, 신체 활동을 멈추시고 잘 쉬어야 합니다.
접종 후 30분 정도는 의료기관에 머무르고
집에 돌아가서도 최소 3시간
이상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둘째, 물을 많이 마십니다.
셋째, 4주간 이상 반응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넷째, 과격한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다섯째, 접종 당일은 목욕을 하지 않습니다.
여섯째, 음주는 절대 금물입니다.
일곱째, 접종부위는 청결히 유지합니다.
여덟째, 어르신들의 경우, 어지러움이
있을 경우 ‘낙상’에 주의합니다.
아홉째, 평소보다 잠을 푹 자기 위해 노력합니다.
백신을 맞고 나서 5시간 이하로 잠을 자면
백신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접종
당일 낮잠을 자지 않도록 합니다.
또 부정맥코로나백신 예방접종 후 이상증상이
나타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걱정스러운 분들도 계실 텐데요.
예방접종 후 즉시 발생 가능한 이상 반응 중
대표적인 것이 아나필락시스라고 합니다.
아나필락시스의 경우 늦어도 1시간 이내에는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므로
접종 장소에서 바로 대응이 가능합니다.
접종 후 빠르면 4∼5시간
후부터 나타나는 접종 부위 통증, 발열, 근육통
등과 같은 경증 이상 반응은 젊은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며, 대부분 48시간 이내에 사라진다고
합니다. 만약 48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접종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 연락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백신의 효과는 1회 접종 후 2주가 지나야
나타나기 시작하고, 완전한 예방효과는 백신을
2회 접종한 뒤 2주가량 지난 뒤에 나타납니다.
2회 접종을 받았다고 해도 100% 예방효과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므로 접종 뒤에도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손 씻기 등과 같은 개인위생
활동을 중시하고 방역 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부정맥코로나백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코로나백신을 접종하면 감염의 확률과
주변에 전파 확률이 낮아지고, 코로나에
걸리더라도 중증으로 가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여러분이 모두 건강하시길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귓볼부음 생기는 이유 다양해요 (0) | 2021.07.08 |
---|---|
허벅지쥐났을때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0) | 2021.07.08 |
건강검진미수검과태료 무조건 내야 할까요 (0) | 2021.07.07 |
목젖옆에혹 왜 생긴 걸까 (0) | 2021.07.07 |
고양이발톱파상풍 가볍게 넘어가서는 안될 (0) | 202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