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를 오랫동안 보고 있거나
눈을 깜빡이지 않고 장시간동안
한 곳을 계속해서 응시하고 있으면
한쪽눈이흐릿해지는 현상을 겪을 수
있는데 이 때, 앞이 뿌옇게 보이거나
보기가 힘들어질 때가 있습니다.
단순하게 눈이 피로하거나
건조해서 그럴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상이 나타난다면 안구 건강에
적신호가 온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눈이 흐릿해졌을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쪽눈이흐릿해지게 만드는
원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아침에 일어났을 때 앞이 뿌옇게
보인 적이 한 번쯤은 있을겁니다.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 눈 안에서
생겨난 이물질과 눈꼽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그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손으로 눈을 비비는 행동은
하지 마시고 세수를 하면서 가볍게
이물질을 없애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평소에 오랜시간동안 렌즈를
착용하는 분들이라면 눈꼽이 더
심하게 낄 수도 있고, 평소에 비해
끈적하고 뭉치는 눈꼽들이 눈주변에
많이 생겼다면 결막염이나 다른
눈병들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눈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손으로 눈을 만지는 행위는
최대한 하지 않도록 하고 눈이 간지럽거나
불편해서 손을 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만지기 전에 손을 깨끗하게 씻은 후에
만지도록 하는 것이 조금이나마
안구의 청결을 지킬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요즘과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신체를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더 필요한
시기일 때는 더욱 더 손을 잘 씻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한쪽눈이흐릿한 현상을 느끼게 되는
또 다른 요인은 안구건조증입니다.
우리 눈에는 충분히 있어야 할 눈물이
필요한데 그 물이 부족하거나 마르면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앞서 언급했듯이 렌즈를 착용하거나
모니터를 장시간동안 바라보는 일들
하는 분들은 이 질환에 노출되기가 쉬운데
눈 깜빡임이 적어지면서 산소투과율이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눈을 건조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평상시 모니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오래 보아야 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거나 렌즈를 오랜 시간
동안 착용한다면 인공눈물을 가지고
다니면서 건조할 때마다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미용적인 목적으로 렌즈를 끼는 경우들이
많은데 특히 학생들이 흔하게 착용하는
저렴한 써클렌즈는 눈 건강을 헤칠 수
있으니 가급적이면 안구에 산소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는 적절한
값의 렌즈를 착용하시길 권장합니다.
하이드로겔 재질로 되어 있는
렌즈는 일반적인 렌즈에 비해서
산소투과율이 더 높고 눈을
쉽게 건조하게 만드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그냥 일반적인
렌즈를 착용하는 것 보다 좋습니다.
되도록이면 눈을 피로하게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안경을 끼거나
의료용 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좋고
렌즈는 권장 착용 시간을 지켜서
끼는 것이 건조함을 덜 생기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20대에서 30대의 사람들이
대부분 위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한쪽눈이흐릿하게 느껴지는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데
눈은 한 번 손상을 입으면
되돌리기 아주 어렵기 때문에
평소에 눈 건강에 신경을 쓰고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야가 흐릿하게 보여지는 것은
이 같은 경우들 외에도 질환에
의한 증세로 나타날 수 있는데
그것이 바로 백내장입니다.
주로 50대에서 60대 사이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눈이 침침하거나 앞이 뿌옇게
보이는 느낌과 증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 백내장이라고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흐려지면서
나타나는 질환이므로 가장 보편적이게
발생하는 것이 편측 안구만 흐려지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시야가
뿌옇게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경각심을 가져야 할 부분 중에 하나는
예전에는 50대 60대 등 중장년층,
노년층에서 주로 발견되는 질병들이었으나
최근에는 젊은 20대 , 30대에게서도
흔하게 관찰이 되고 있으니 더더욱
안구 건강에 신경쓰는 것이 필요합니다.
평소에 눈 건강이 좋지 않은 분들은
더욱 더 신경써서 케어하는 것이
필요하고 눈을 많이 사용하는 일을
하거나 그런 상황들이 자주 있다면
눈이 충분한 휴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쪽눈이흐릿하게 보이는 증세가
자주 나타난다면 꼭 안과에서
정확한 검진을 받도록 하시고
안구 외에도 전반적인 신체
건강 관리에 소홀히 하지 않고
튼튼한 몸 유지하시길 바랄게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가깨질듯이아파요 대체 왜 그런걸까 (0) | 2021.09.30 |
---|---|
손가락껍질벗겨짐 피부가 매마른 이유는 (0) | 2021.09.29 |
소변자주마려움 어디가 문제일까 (0) | 2021.09.29 |
귀윙윙 거리는 소리 왜 그럴까 (0) | 2021.09.29 |
배란일유두통증 욱씬욱씬 아플 땐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