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이 자주 마려운
이유가 무엇일까요?
평균적으로 성인을 대상으로
낮 시간에 4~6회 정도,
밤 시간에 0~1회 정도로 소변으로
화장실을 찾고는 합니다.
많더라도 10회 정도까지가 정상적인데요.
이 범위를 넘는다면
소변자주마려움 증상에 대해
생각을 해보시고
대비를 하셔야 합니다.
오늘 전달해드릴 이야기는
소변자주마려움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방광염
대표적 질환으로 방광염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방광염은 세균으로 인해 방광에
염증이 생긴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이 가능한데요.
만성의 경우 급성방광염이
1년에 3회 이상으로 자주 발생하거나
호전이 되지 않고 지속된다면
만성으로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이 급성 방광염의 증상으로는
소변색이 탁한색을 띄거나
좋지않은 악취를 풍기는 등의
증상들이 발생합니다.
이에 도움이 되는 행동으로는
요로진정제, 온수좌욕 등이 도움이 되지만
항생제 치료로 쉽게 치료가 가능하고
방광에 영구적인 장애가 남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로
병원에 방문하셔서
항생제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요로감염
요로감염은 요도와 방광 신장 등의
요로계에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이 되는 질병입니다.
대표적으로 앞서 말씀드린
방광염이 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유형이고,
이보다 더 심각한 형태로 갔을 경우
신우신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 증상으로는 소변이 자주 마렵고
소변을 보게 될 때
통증이나 소변에 피가 섞여
혈뇨까지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변비
생각지도 못한 원인으로 변비도
소변자주마려움 증상을 일으킵니다.
원인은 대장에 변이 정체됨으로
인해 방광을 누르게 됨으로서
방광신경이 소변이 찼다고
착각을 해버리는데요.
이로 인해 실제로는
소변이 차지 않았지만
소변이 마려운 느낌을
들게 만든다고 합니다.
실제로도 변비를
치료하고 난 후에
소변자주마려움 증상을
치료했다는 연구결과도 있어
연관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
과민성 방광으로 인해서도
소변이 자주 마렵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하는데요.
과민성 방광이란 방광이 지나치게
예민해져서 방광이
수축을 하게 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정상적으로는 방광 내 소변이
400ml ~ 500ml까지 차도 참을 수 있지만
과민성 방광은 다 차지도 않았음에도
소변이 마려운 것 같다는 느낌을 줍니다.
이로 인해서 빈뇨, 야간뇨 등과 같은
질환들이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전립선비대증
말 그대로 전립선이 비대하게 커짐으로 인해
요도가 좁아지게 돼서,
방광에 압박이 가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수면 도중에도
화장실을 찾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소변을 보는데 소변줄기에 힘이 없을 경우
또는 중간에 소변줄기가 끊어지거나
힘을 주어야 소변이 나오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를 방치해두면 방광 속에
정체되어 있는 소변으로 인해
요로감염, 방광 결석이 생길
위험이 늘어나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아가셔서
초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기 전 물 다량섭취
자기 전 물을 섭취량보다 더 많이 마시는 경우에도
소변자주마려움으로 잠에서 종종 깰 수 있습니다.
건조함을 없애기 위해 물을 조금 마시는 것은 좋으나
잠을 청하기 한, 두시간 전에는 물 뿐만 아니라
이뇨제 효과가 있는 알콜과 카페인 성분이 들어가 있는
술이나 커피는 마시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요붕증
하루 소변 양은 우리 몸안의 수분과
전해질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이 됩니다.
만약, 체내 수분이 부족하다면
항이뇨호르몬을 분비하여
소변의 양을 줄이게 되는데요.
요붕증이란 이 항이뇨호르몬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아서
비정상적으로 소변이
양이 증대하거나
심각한 갈등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외의 증상으로 피부가 건조하거나 구역질, 현기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한 경우
발작이나 뇌 손상을 일으키며
심각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 까지도 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항시 탈수되지 않게
주의하고 소금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원인과 증상들이
정말 많이 있는데요.
오늘 알려드린 원인과 증상들을 통해서
여러분들의 건강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가락껍질벗겨짐 피부가 매마른 이유는 (0) | 2021.09.29 |
---|---|
한쪽눈이흐릿 앞을 보기 힘들다면 (0) | 2021.09.29 |
귀윙윙 거리는 소리 왜 그럴까 (0) | 2021.09.29 |
배란일유두통증 욱씬욱씬 아플 땐 (0) | 2021.09.29 |
손가락마디결절종 그냥 둬도 괜찮을까요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