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로 인하여
전 세계가 이 바이러스를 종식시키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보니
온 국민의 관심 또한도 코로나 백신에
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라고
불리는 백신을 접종을 시작 하였는데요.
아스트라제네카백신을 맞은 분들이
혈전 부작용을 겪은 경우가
다반수이고 사망에까지 이른 사람들도 있는데요.
현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중단이 된 상태입니다.
오늘은 이 아스트라제네카혈전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혈전에 대해 설명하기 전
혈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혈전이란, 혈관 안의 혈액 세포들이
여러 염증과 찌꺼기들로 인해
서로 달라붙어 굳은 덩어리를
혈전이라고 합니다.
이 덩어리로 인해서 혈관 내부가 좁아져서
혈액의 흐름들이 느려지거나
혈전의 크기가 클 경우
아예 혈관을 막아 혈액들을 차단을 시켜버리는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증상인데요.
더욱 조심해야 할 것은
이 혈전이 생겨도 아무런 증상이 없기 때문에
더욱 무서운데요.
게다가 치료도 어렵기에 평소의 건강관리가
더더욱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혈전이라는 말이 나온 이유도
이 백신으로 인해 혈전증을 겪는 분들이 증가하였기에
큰 이슈가 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혈전으로 발생되는
혈전증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첫 번째로는 대뇌정맥동혈전증이 있습니다.
대뇌의 정맥안에서 혈액의 응고로 혈전이 생성되어
심장으로 빠지는 혈액의 흐름을 막음으로
뇌졸중을 불러일으킬 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가 젊은 여성으로서 피임약과,
에스트로겐 등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대부분의
사람이 이 대뇌정맥동혈전증을 겪고 있고
20대~60대사이의 여성이
이에 해당을 한다고 알려졌습니다.
그다음으로 심부정맥혈전증 DVT가 있습니다.
동맥의 경우 심장의 힘으로 순환이 일어나지만
정맥의 경우 팔과 다리 근육이
움직임으로 순환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근육의 움직임이 없다면
심장으로 돌아갈 힘이 부족하여
역류가 일어남으로 혈전증이 발생합니다.
이는 상지 혈전증과 하지 혈전증으로
구분을 지을 수 있는데요.
주로 대퇴정맥혈전증이라고 하는
하지 혈전증이 많이 발생합니다.
허벅지와 종아리에 주로 나타나며
이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생김으로
다리가 붓거나 발적, 통증을 일으킵니다.
상지혈전증 중 흉곽출구증후군은
팔뚝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드문 혈전증입니다.
반복된 움직임으로 인한 압력으로
어깨 부근에서 응고되어
붓기와 가슴에 큰 통증을
느끼며 피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신 증후군이라고 하는 신장정맥혈전증은
신장정맥에 혈전들이 과다하게 발생함으로
정맥의 정체, 혈관손상을 일으키는 혈전증입니다.
이로 인해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고 피가 섞여 나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원인들은
무엇일까 궁금해 집니다.
대표적으로는 고지혈증이 있습니다.
30세 이상의 성인 6명들 중 1명 꼴로
가지고 있는 고지혈증은
앞서 말씀 드린 혈전증과 같이
전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위험한데요.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질환이라 생각해서
쉽게 넘어가면 더욱 악화 될 수 있으니
건강에 유의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두 번째로는 고혈압이 있습니다.
고지혈증과 마찬가지로 고혈압을 겪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사망에 대한 요인으로 가장 위험하고
큰 요인을 가져오는 것이 바로 고혈압입니다.
이는 흡연과 비만보다도 더 높은 수치입니다.
관상동맥질환과 뇌혈관질환 등을 유발하기에
항시 건강체크와 관리에 많은 신경이 필요합니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혈전에 대한 논란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데요.
옥스퍼드대학과 함께 이 백신을 개발한
아스트라제네카는 초기에는
각광받던 코로나19 백신이였는데요.
여러 부작용으로 인해서 잠깐 넘어졌으나
최근 이 혈전증상이 드물게 발생이 된다는
보고가 있으면서
계속해서 논쟁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백신과 연관이 전혀
없다는 것은 아니라 판단하였고
30세 이하는 아스트라제네카가 아닌
다른 백신을 접종하기를 권장하였습니다.
오늘 아스트라제네카혈전에 관련하여
증상들과 원인들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계속 해서 코로나19 유행이 지속이 되고 있어
백신에 대한 기대가 더욱 클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하루 빨리 부작용이 없는 백신이 개발이 되어
마스크 없는 생활로 다시 돌아가고 싶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흰색토 큰일이면 어떡하죠 (0) | 2021.09.30 |
---|---|
배가콕콕쑤셔요 자꾸 그렇다면 (0) | 2021.09.30 |
속이미식거릴때 낫기위해서는 (0) | 2021.09.30 |
머리가깨질듯이아파요 대체 왜 그런걸까 (0) | 2021.09.30 |
손가락껍질벗겨짐 피부가 매마른 이유는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