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세수를 하거나 물건을 들고
필기를 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키보드를 치는 등 이 모든 일들은
모두 손이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손은 정말 신체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하면서 소중한 부위이고
없다면 가장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요.
손가락에 혹이나 종양으로 의심되는
볼록한 형태가 발견되었다면
손을 움직이는 것에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겠죠. 그래서 오늘은 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인 손가락마디결절종 알아보도록 할게요.
손가락은 자주 쓰는 만큼 상처가 생기기도
쉬운 곳인데요. 단순히 긁히거나 베여서
생긴 것이 아닌 질환에 의해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내장기관이 아닌
겉으로 보여지는 손이나 팔, 다리에 이상
증세를 보이면 별 다른 의심 없이
그냥 두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냥 어디서 긁힌 상처겠지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아서라고 할 수 있는데요.
손가락에 혹이 생겼더라도 어느날
자연스럽게 치유되어 사라졌다면
더욱더 별 다른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어떠한
치료 없이 없어진다면 큰 병이 아니겠지
라는 생각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손가락마디결절종은 재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처음에 발병하고 자연히 사라졌다고
하더라도 손가락을 자주 쓰거나 외상을 입으면
발생할 수 있는데요. 관절 내에서 보존해주기
위해서 있는 관절액의 일부가 새어 나와서
변질을 일으키는 질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손가락에 염증이나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만 잘해주어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라는 이야기가 되겠죠.
하지만 손가락을 하루도 빠짐없이 우리가
사용하는 신체부위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외상에 쉽게 생길 수밖에 없고
특히 사무직이나 모니터를 보고 타이핑을
쳐야하는 직장인이라면 일반인에 비해
손가락을 더 자주 많이 쓸 수밖에 없기 때문에
관절에 무리를 주게 됩니다.
손에서만 발병하는 것이 아닌 관절과 이어져
있는 부위라면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인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 마우스나 키보드를 자주 사용하다보니
유독 한 손가락에만 힘이 들어가서
마디에 통증을 느끼는 증상을
경험했었는데요. 이런 부분들을
방치해두면 겉으로 관찰되는
손가락마디결절종이되는 것이
아닌가 추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손가락에 어떤 염증이 생겼다고
해서 무조건 결절종이 발생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정확한 질환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정밀한 검사인 초음파를
통해 종양의 확인 여부를 할 수 있는데
크기에 따라서 아주 미세한 정도의
혹이라면 내부를 들여다보는 검사를
할 것 없이 주사기로 활액을 채취해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재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
확실하게 제거해주고 손가락을 많이
쓰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한데요.
설거지나 청소등 집안일을 할 때도
손목이나 손의 근육이 많이 쓰이게 되어서
전업주부나 사무와 관련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예방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네요.
최대한 손을 적게 쓰는 것이 어렵다면
지속적으로 스트레칭을 해주거나
손가락 건강 상태를 유의해서
살펴봐주는 것이 중요하겠죠.
손가락마디결절종은 구부러지는 마디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후기를
살펴보면 자연히 없어졌다는 사람들의
의견도 많은 반면 실제 수술을 했고
하얀 덩어리와 같은 종양이 나왔다고
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외관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어떤 상태인지는 반드시 병원에서
알 수가 있겠죠.
불편함이 생기는 것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지 않아
제거하는 케이스가 많다고 해요.
아무래도 손가락은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을 것 같지만 많이 쓰이는
만큼 얼굴보다 더 육안으로 관찰되기가
쉽다고 할 수 있겠죠.
그러므로 미용상의 문제로 수술을
결심하는 경우들이 많다고 하는데
그러한 부분 외에도 마디 관절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손가락 관절이 쑤시거나 아프고 볼록한
혹 모양의 종양이 생긴 것 같다면
그냥 두지 마시고 꼭 병원에 가보시는
것을 권유드리며 평소에 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면 따뜻한 물에
가볍게 찜질을 해주거나 마사지를
해주는 등 관절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손가락마디결절종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윙윙 거리는 소리 왜 그럴까 (0) | 2021.09.29 |
---|---|
배란일유두통증 욱씬욱씬 아플 땐 (0) | 2021.09.29 |
척추뼈개수 몇 개나 될까요 (0) | 2021.09.29 |
해열제개봉후유통기한 주의 (0) | 2021.09.29 |
손끝벗겨짐 보습에 신경쓰자 (0) | 2021.09.29 |